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 총정리|지급액·대상·지급일 완벽 해설

by abcd111 2025. 7. 23.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은 매년 설날과 추석을 기준으로 정해지며, 공무원 복지제도 중 가장 체감도가 높은 수당으로 손꼽힙니다.

2025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 총정리|지급액·대상·지급일 완벽 해설
2025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 총정리|지급액·대상·지급일 완벽 해설1

 

공무원 정근수당 지급기준

 

공무원 경조사 휴가일수

 

 

특히 2025년에는 봉급표 인상분이 반영되어 실수령액도 함께 증가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공무원 명절휴가비의 지급기준, 산정 방식, 지급일, 지급 제외 조건 등을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공무원 명절휴가비 제도란?

명절휴가비는 공무원이 설날과 추석 명절을 앞두고 받는 정액 수당으로,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8조의3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해당 수당은 공무원의 생활 안정을 위한 복리후생제도로서 예산 범위 내에서 지급됩니다.

2025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은 다음과 같이 설정됩니다.

  • 지급 기준일 현재 재직 중인 공무원 전원 대상
  • 지급액: 기본 봉급의 60% (연 2회)
  • 지급일: 설·추석 기준일 전후 15일 이내 (기관 자율)

2025년 기준일 및 지급 시기

명절 기준일 통상 지급일 범위
설날 2025-01-29 1월 15일 ~ 1월 22일
추석 2025-10-06 9월 22일 ~ 9월 29일

 

명절휴가비는 기준일에 재직 중이어야 지급되며, 휴직·전보 등 근무 상태에 따라 제외될 수 있습니다.

 

2025년 명절휴가비 산정 공식

명절휴가비 = 월봉급 × 60%

여기서 월봉급은 2025년 공무원 봉급표 기준 기본급을 의미하며, 연봉제 적용 대상자는 연봉월액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직급별 명절휴가비 예시 (2025년 설 기준)

  • 9급 1호봉: 월봉급 2,000,800원 → 휴가비 1,200,480원
  • 8급 1호봉: 2,028,200원 → 1,216,920원
  • 7급 1호봉: 2,173,600원 → 1,304,160원
  • 6급 15호봉: 3,257,700원 → 1,954,620원

성과급적연봉제 대상인 5급 이상은 연봉에 포함되어 별도 지급되지 않습니다.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 대상과 제외 조건

지급 대상

  • 국가직 및 지방직 공무원
  • 교사 포함 교육공무원 (교사 추석 상여금 동일 구조 적용)
  • 군무원 및 기능직, 행정직 전 계급

지급 제외 대상

  • 전투경찰순경, 사관생도, 후보생
  • 의무복무 군인
  • 기준일 현재 무급휴직자
  • 감봉·정직 중인 경우는 감액 전 봉급 기준으로 지급

 

휴직, 전보, 징계 시 주의사항

012345678910111213
2025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 총정리|지급액·대상·지급일 완벽 해설2

 

기준일 이전 복직하지 않으면 명절휴가비 지급 대상이 아닙니다. 또 전보된 경우, 지급은 기준일 소속 기관이 담당하며, 감봉 중인 경우라도 감액 전 봉급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명절 상여금과의 차이점

명절휴가비는 6급 이하 공무원 대상 복지수당이며, 상여금은 성과급적연봉제 대상자(5급 이상)의 연봉 구성 항목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즉, 일반직 공무원은 명절마다 휴가비를 별도로 현금으로 받는 구조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 세금 팁

  • 명절휴가비는 근로소득으로 분류되며, 원천징수 후 실지급됩니다.
  • 복지포인트와는 별도 항목으로 중복 지급 가능
  • 가족수당, 직급보조비는 명절과 무관하게 월급날 정기지급
  • 임용 1년 미만 공무원도 지급 가능 (근속 제한 없음)

 

정리하며

012345678910111213
2025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 총정리|지급액·대상·지급일 완벽 해설3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은 단순하지만 중요도 높은 수당입니다. 2025년 기준 “월봉급 60% × 연 2회” 구조는 유지되며, 봉급 인상으로 인해 실수령액이 증가했습니다. 명절 전 기관 내부 공지 확인을 꼭 하고, 지급기준일 기준 재직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공무원 명절휴가비 지급기준은 복지성 수당이지만, 실질적 재정계획에 영향을 주는 항목입니다. 연말정산과 세액공제까지 고려하여 효율적인 수당 운용 계획을 세워보시길 바랍니다.